갑상선암 3기라고 하면 많은 사람들이 "이제 많이 진행된 건가요?" 하고 묻는다. 하지만 다른 암과는 다르게, 갑상선암은 3기라도 전이의 범위가 제한적이며, 치료 성적도 여전히 양호하다. 특히 55세 미만의 경우 병기 분류 기준이 다르기 때문에 '3기'라는 이름에 과도하게 불안해할 필요는 없다. 중요한 건, 수술과 방사성 요오드 치료, 그리고 정기적인 추적 관찰을 통해 완치에 가까운 결과를 만들어가는 것이다. 갑상선암 3기, 지금부터의 관리가 예후를 결정한다.
목차
- 갑상선암 3기란? 병기 기준 정리
- 주요 증상과 징후
- 진단 및 검사 방법
- 치료법: 수술, 방사성요오드, 호르몬 요법
- 예후와 생존율
- 수술 후 관리와 식이요법
- 갑상선암 3기, 꼭 기억할 핵심 포인트
1. 갑상선암 3기란? 병기 기준 정리
갑상선암의 병기 기준은 나이에 따라 달라진다.
- 55세 미만: 원격 전이가 없으면 대부분 1기 또는 2기로 분류된다.
- 55세 이상: 암이 갑상선 피막을 뚫고 주위 조직이나 림프절로 퍼졌지만, 원격 전이는 없는 상태라면 3기로 분류된다.
즉, 갑상선암 3기는 다음 중 하나에 해당할 수 있다.
- 암이 4cm 이상이면서 피막 침윤이 있음
- 림프절(중심부 또는 측경부) 전이가 있음
- 후두, 기도, 식도 등 인접 장기에 국소 침범이 있음
- 그러나 폐나 뼈 등 원격 전이는 없음
따라서 병기명만 보고 예후를 단정 짓기보다는, 세부 병리 결과와 함께 치료 계획을 세워야 한다.
2. 주요 증상과 징후
갑상선암 3기의 경우, 1·2기에 비해 자각 증상이 비교적 더 잘 나타나는 편이다.
특히 주위 조직을 침범하거나 림프절 전이가 있을 경우 다음과 같은 증상이 생긴다.
- 목 부위의 혹이 빠르게 커지거나 단단해짐
- 음식 삼킬 때 이물감 또는 통증
- 쉰 목소리, 발성 변화
- 목 한쪽이 불룩하거나 비대칭
- 림프절 전이로 인한 목 옆의 통증 없는 덩어리
이러한 증상이 있다면 빠른 진료와 정밀 검사가 필요하다.
3. 진단 및 검사 방법
갑상선암 3기 진단을 위해선 보다 세밀한 검사가 필요하다.
▪ 초음파 검사
암의 크기, 내부 성상, 경계, 혈류 등을 평가하며
림프절 전이 의심 여부도 함께 확인
▪ 세침흡입세포검사(FNA)
결절과 의심 림프절에서 세포를 추출하여 악성 여부 확인
▪ 혈액검사
TSH, T3, T4와 함께 종양표지자인 갑상선글로불린(Tg) 측정
▪ CT, MRI, PET-CT
- 주위 장기 침범 여부
- 림프절 전이 평가
- 드물게 원격 전이 확인 목적
▪ 수술 후 병리조직검사
피막 침윤, 림프절 전이 수, 종양 크기, 세포 분화도 등을 기준으로 최종 병기 확정
4. 치료법: 수술, 방사성요오드, 호르몬 요법
갑상선암 3기의 치료는 다음 3가지를 중심으로 진행된다.
① 전절제술 (Total Thyroidectomy)
- 갑상선 전체 절제는 기본
- 림프절 전이가 있을 경우 림프절 곽청술도 병행
- 후두신경, 부갑상선 보존을 위한 정밀한 수술 필요
② 방사성 요오드 치료 (RAI)
- 수술 후 남아 있는 갑상선 조직 및 미세 전이 제거
- 치료용 요오드 섭취 전 저요오드 식단 유지 필요
- 치료 후 전신 스캔으로 재발 및 전이 여부 확인
③ TSH 억제 요법
- 갑상선 호르몬제(레보티록신) 고용량 투여
- TSH 수치를 억제해 암세포 성장 억제
환자의 나이, 병리 결과, 전이 위치에 따라 치료 순서와 강도는 조절된다.
5. 예후와 생존율
갑상선암 3기는 치료가 필요한 진행성 단계이지만, 완치 가능성은 여전히 높다.
- 5년 생존율: 약 85~95%
- 10년 생존율: 80% 이상
- 림프절 전이 개수가 적고, 국소 침윤만 있는 경우 예후는 더욱 긍정적
다만 고령자, 미분화 세포가 있거나 재발 고위험군의 경우 치료 후 지속적인 관리와 추적 검사가 필요하다.
6. 수술 후 관리와 식이요법
✔ 갑상선 호르몬제 복용
- 전절제 환자는 매일 호르몬제 복용 필수
- 공복에 복용하며 철분제, 칼슘제와 간격 유지
✔ 방사성요오드 치료 전 식이 조절
- 1~2주간 요오드 제한 식이(해조류, 우유, 소금 제한)
✔ 정기검진
- 초음파, Tg 수치 측정, RAI 스캔 등
- 재발 고위험군은 3~6개월 간격 모니터링
✔ 생활관리
- 스트레스 최소화, 금연·금주
- 규칙적인 식사와 적절한 수면
- 체중 유지와 유산소 운동
7. 갑상선암 3기, 꼭 기억할 핵심 포인트
- 병기명보다 중요한 것은 세부 병리 결과와 치료 계획이다.
- 림프절 전이나 국소 침윤이 있어도 대부분 완치 가능하다.
- 수술, 방사성요오드, 호르몬 요법의 3단계 치료가 핵심이다.
- 치료 이후에도 정기적인 검사와 생활 관리가 중요하다.
- 3기 환자도 일상 복귀와 사회생활이 충분히 가능하다.
갑상선암 3기, 두려움보다는 정확한 정보와 치료 계획으로 스스로의 삶을 다시 건강하게 설계할 수 있다.
출처
- 국립암센터 갑상선암 정보 (https://www.cancer.go.kr)
- 서울아산병원 갑상선암센터
- 대한내분비외과학회 진료지침
- 대한갑상선내분비외과 연구회 2023년 자료
'갑상선암'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갑상선암 4기, 끝이 아닌 또 다른 시작: 치료법과 관리 전략 (2) | 2025.07.26 |
---|---|
갑상선암 2기, 예후는 좋지만 방심은 금물! 치료·수술·관리법 총정리 (0) | 2025.07.26 |
갑상선암 1기, 예후는 좋지만 방심은 금물! 치료와 관리법 총정리 (2) | 2025.07.26 |
갑상선 암의 종류 : 특징과 치료법 (3) | 2025.07.11 |
목에 혹이 만져진다면? 갑상선암 증상, 그냥 넘기지 마세요 (1) | 2025.06.26 |